선생님과 천문 종사자를 위한 천문우주 교실 실시 – KS News
        
선생님과 천문 종사자 위한 천문우주 연수 실시
– 최신 이슈 주제로 온오프라인 진행
– 장애·비장애학생 모두를 위한 프로그램 도입
■ 한국천문연구원은 8월 7일(월)부터 전국 초·중·고등 교원과 천문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천문우주 교육을 실시한다.
□ 한국천문연구원은 1995년부터 매 여름·겨울방학 기간에 천문연수를 운영해왔는데, 올해 여름 천문연수는 최초로 온오프라인 병행 진행한다. 온라인 천문연수는 8월 7일(월), 오프라인 천문연수의 경우 8월 9일(수)부터 11일(금)까지 진행된다.
□ 교원 및 천문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온라인 천문연수는 최신 천문학 지식과 한국천문연구원의 우주탐사 내용을 연구자들이 직접 강연한다. 최신 천문학 이슈인 ‘우주망원경으로 본 우주’를 비롯해 생활 천문학 상식인 ‘달력 이야기’ 그리고 ‘대항해와 뉴스페이스 시대’, ‘달 탐사와 아르테미스’, ‘도요샛과 누리호’ 등 우주탐사에 대한 다양한 강연을 줌(Zoom)으로 접할 수 있다.
□ 오프라인 천문연수는 교원 및 특수교육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국천문연구원 본원에서 펼쳐진다. 특히 이번 오프라인 천문연수의 경우 국제천문연맹(IAU) 교육위원회의 프로그램을 도입해 보편적 학습 설계*(Universal Design for Learning, UDL) 형식으로 진행한다. 태양과 태양계, 별과 우주환경을 주제로 일반학급을 비롯해 특수학급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천문우주 교육 콘텐츠 개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.
※ 보편적 학습 설계란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습자에게 동등한 교육 접근성을 부여하고 교육적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유연한 자료와 방법을 제공하는 교육과정을 의미한다.
□ 여름 천문연수는 7월 26일(수)까지 선착순으로 접수 가능하며 오프라인 교육의 경우 신청 인원이 초과할 경우 심사를 통해 선발할 예정이다. 신청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가능하다.
(온라인 신청: https://forms.gle/UBKHcBHVRA7xTYbW6, 오프라인 신청: https://forms.gle/v7avyboHCJtStntA8) (보도자료 끝. 참고 사진 및 자료 있음.)
[참고자료]
2023년 여름 천문연수 프로그램
ㅇ 8월 7일 온라인 강의(일반 교원 및 천문시설 종사자 대상, 인원 100명)
| 
 날짜  | 
 시간  | 
 강연 내용  | 
 강연자  | 
| 
 
 8/7 (월)  | 
 10:00~10:05 (5‘)  | 
 교원천문연수 안내 및 연구원 소개  | 
 진행자  | 
| 
 10:05~10:15 (10‘)  | 
 인사말  | 
 
  | 
|
| 
 10:20~10:50 (30‘)  | 
 우주망원경으로 본 우주  | 
 김상철  | 
|
| 
 10:50~11:00 (10‘)  | 
 질의 응답 및 휴식  | 
||
| 
 11:00~11:30 (30‘)  | 
 달력 이야기  | 
 박한얼  | 
|
| 
 11:30~11:40 (10‘)  | 
 질의 응답 및 휴식  | 
||
| 
 11:40~13:10 (100‘)  | 
 점심 식사  | 
||
| 
 13:10~14:00 (50‘)  | 
 대항해와 뉴스페이스 시대  | 
 김성수 (경희대)  | 
|
| 
 14:10~14:20 (10‘)  | 
 질의 응답 및 휴식  | 
||
| 
 14:20~14:50 (30‘)  | 
 달 탐사와 아르테미스계획  | 
 심채경  | 
|
| 
 14:50~15:00 (10‘)  | 
 질의 응답 및 휴식  | 
||
| 
 15:00~15:30 (30‘)  | 
 도요샛과 누리호  | 
 이재진  | 
|
| 
 14:10~14:40 (30‘)  | 
 질의응답 및 마무리  | 
 진행자  | 
|
※ 세부 프로그램은 기관 사정으로 변동가능
ㅇ 8월 9일~11일 오프라인 강의(일반 교원 및 특수교육 종사자 대상, 인원 15명)
| 
 날짜  | 
 시간  | 
 과정  | 
 세부내용  | 
| 
 1일차 (8/9)  | 
 13:30~14:00  | 
 등록  | 
 오리엔테이션 및 조편성  | 
| 
 14:00~14:50  | 
 UDL 기초  | 
 보편적학습설계(UDL) 소개  | 
|
| 
 15:00~16:30  | 
 천문 관측(이론)  | 
 관측법 및 망원경 사용법  | 
|
| 
 16:40~17:30  | 
 NASE 프로그램 개요  | 
 NASE 프로그램 소개 – 지구–달–태양 시스템: 위상 및 식현상 – 해시계 만들기  | 
|
| 
 17:30~18:30  | 
 저녁식사  | 
||
| 
 18:30~20:00  | 
 천문 관측(실습)  | 
 천체 관측  | 
|
| 
 2일차 (8/10)  | 
 09:00~10:50  | 
 천문학 1  | 
 1) 태양 : 태양의 특징과 항성으로서의 태양에 대하여 알아본다. 2) 태양계 : 태양계의 구성원에 대하여 알아본다.  | 
| 
 11:00~12:00  | 
 천문학 2  | 
 태양 흑점 관측 실습  | 
|
| 
 12:00~13:00  | 
 점심식사  | 
||
| 
 13:00~13:50  | 
 천문학 3  | 
 3) 태양과 우주환경: 태양에 의한 우주환경의 특징에 대하여 알아본다.  | 
|
| 
 14:00~18:00  | 
 그룹토의  | 
 보편적학습설계를 적용한 프로그램 개발 – NASE 프로그램 기반 업그레이드 – 천문학1~3 수업 관련 교수 학습 지도안 개발  | 
|
| 
 3일차 (8/11)  | 
 09:00~09:50  | 
 천문학 4  | 
 초중등 교과에서의 천문학  | 
| 
 10:00~12:00  | 
 발표  | 
 모둠별 결과물 발표  | 
|
| 
 12:00~12:30  | 
 수료식 및 기념촬영  | 
||
※ 세부 프로그램은 기관 사정으로 변동가능
[참고사진]
한국천문연구원 2023 여름 천문연수 포스터(온라인)

한국천문연구원 2023 여름 천문연수 포스터(오프라인)

첨부파일(3)
원천: 한국천문연구원